Acoustics and Vibration Lab
Research
Acoustics and Vibration Lab
Research
자동차, 열차, 가전, 등의 소음 진동 해석, 측정 분석 및 저감
제진재, 흡음재, 복합재 등 다양한 소재의 기계특성 측정
자동차 BSR 소음 발생 메커니즘 분석 및 특성 측정
진동 및 소음 분석을 통한 구조 강건성 및 내부 결함 모니터링 지능형 시스템 개발
음향진동 연구실은 진동 및 소음 제어, 진동 감쇠에 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복합재 진동 해석, 차량 소음 저감, 스마트 소재를 활용한 구조물 건강 모니터링 및 진동 제어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진동과 소음 문제를 해결하여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시스템 설계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A. Vehicle interior noise
a. Aerodynamic noise generation inside load and air vehicles, and high speed trains
b. Vibration and noise control using viscoelastic and porous materials
B. Vibro-acoustic analysis of advanced structural elements
a. Vibration analysis of composite panels
b. Control of structural wave propagation
c. Effects of anisotropy, viscoelastic properties, curvature
d. Vibration control through resonantresponses of microspheres
C. Rheology of vibration controlmaterials
D. Health monitoring of structures
E. Smart materials and structures
F. Actuation of micro-robots
G. Vibration control of industrial robots
H. Attenuation of Vibration for floating Floors of building
가전기기 및 자동차의 진동 및 소음 문제는 사용자의 쾌적한 환경뿐만 아니라 휴먼 헬스케어 분야에서도 중요한 이슈이다. 이에 따라 진동 전달 경로를 분석하고 각 부품의 소음 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해 Operational Transfer Path Analysis(OTPA)를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중이다. OTPA는 실제 운영 상태에서 진동원과 응답 사이의 전달 경로를 식별하고 분석하는 방법으로, 정상 작동 중인 장비의 소음과 진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이를 통해 주요 소음원의 구조적인 동적 거동과 소음 발생 기여도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대상 진동소음원의 설계 최적화 및 소음 기준을 충족하는 새로운 기기 개발에 중요한 기여가 가능하며, 이 분석 방법은 정온한 환경을 조성하는 부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모터 구동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주기적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Micro-Perforated Plates(MPP)를 응용한 Meta surface 구조에 관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해당 구조는 각 모터 구동부의 격벽에 적용되며, 작동 모드, 소음 발생 대역, 그리고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는 국소 위치 별로 다양한 저감 성능을 가진 meta surface MPP를 설치함으로써 최적의 소음저감 구조를 설계한다. 이 접근 방식은 소음의 전달 경로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회전기기의 작동 중 발생하는 불편함을 현저히 감소시키며, 사용자의 생활 환경을 개선하는 데 기여한다.
차량과 같은 프레임 구조체의 구조적 간소화 및 구조 강건성 향상을 위하여 차량 프레임인 Body in White (BIW)의 강성을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해당 연구에서는 특정 경계 조건 하에서 BIW의 진동 응답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Spectral Element Method (SEM)를 사용하여 BIW의 진동 특성을 분석한다. 또한, BIW hammer test의 실측 데이터를 변위 단위로 변환하여, 관심 대역의 동강성을 효과적으로 평가하였다. 해당 평가 방법은 차체의 진동 내구성을 정밀하게 분석하며, 필러리스 차량의 실제 적용 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